본문 바로가기

스터디

C++ 6번째 코딩마법서 (변수)

변수: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기억공간

변수를 쓰는이유 값을 저장해서 코딩을 하기 위해서 입니다. 변수 선언은 엄청 간단합니다. 변수 a에 10이라는 값을 준다고 하면 int a = 10;하면 끝입니다. 하지만 

변수의 종류의 따라 int , float, double, char등 정수형인지 문자인지 실수인지 판별의 유의해야합니다.

#include<cstdio>

int main(void)
{
    int a = 10;
    printf("%d\n",a);
    return 0;
    
 }

위의 코드를 보면 a라는 변수에 10이라는 정수값을 저장했습니다. 그리고 10이 출력됬습니다. 하지만 예약어는 변수명을 쓸수 없는데 예약어는 a앞에 int와 같이 이미 기능이 만들어져 쓰여지고 있는걸 예약어라고 합니다.

구분 예약어
자료형 char, shot, int, long, float, double
제어문 if, else, for, while, do, break, return
기억클래스 auto, extern, register
기타 const, sizeof, typedef
#include<cstdio>

int main(void)
{
    int a,b;
    double c,d;
    char e,f;
    
    a=10;
    b=20;
    
    c=10.12;
    d=23.45;
    
    e='I';
    f='g';
    
    printf("%d\n",a);
    printf("%d\n",b);
    printf("%lf\n",c);
    printf("%lf\n",d);
    printf("%c\n",e);
    printf("%c\n",f);
    return 0;
    
 }

10
20
10.120000
23.450000
I
g

이점을 보아 int는 정수형 변수를 선언한다.

double은 실수형 변수를 선언한다.

char는 문자형 변수를 선언한다.

를 알수 있다. 연습문제 두개의 실수형 변수 a,b에 12.34와 23.456을 선언과 동시헤 초기화한 후 두 실수를 사칙연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단 소수점둘째까지만 출력한다)

출력값

12.34 + 23.46 = 35.80
12.34 - 23.46 = -11.12
12.34 * 23.46 = 289.45
12.34 / 23.46 = 0.53

 

 

 

 

 

 

 

 

 

 

 

#include<cstdio>

int main(void)
{
	double a =12.34, b=23.456;
    
    printf("%.2lf + %.2lf = %.2lf\n", a, b, a+b);
    printf("%.2lf - %.2lf = %.2lf\n", a, b, a-b);
    printf("%.2lf * %.2lf = %.2lf\n", a, b, a*b);
    printf("%.2lf / %.2lf = %.2lf\n", a, b, a/b);
    return 0;
}

 

반응형